ASSOCIATION OF PHYSICIANS FOR HUMANISM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라는 이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천’이다.

초점

초점

공유하기

[언론] [인의협][김동은]코로나에 ‘정치’가 무기력했던 대구… “상찬 대신 치열하게 과오 되짚어봐야”

작성자 : 관리자 2020.06.06

대구참여연대 주최 토론회서 지적, 사회적 치유도 정치가 나서야

 

지난 5월 28일 밤 대구 중구 서성로 ‘공간 7549’에서 열린 ‘코로나 사태 대구사회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토론회 모습 / 김원진 기자

지난 5월 28일 밤 대구 중구 서성로 ‘공간 7549’에서 열린 ‘코로나 사태 대구사회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토론회 모습 / 김원진 기자

“일단 코로나19가 잠잠해졌으니 결과적으로 잘했다고 평가할 순 있다. 그렇다고 자화자찬만 할 건 아니지 않나. 코로나19 국면에서 발생한 대구 정치의 공백, 행정의 난맥상을 되짚어 다음 상황을 대비해야 할 국면이다.”

채장수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지난 5월 28일 밤 대구시 중구 ‘공간 7549’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한 말이다. 대구시가 코로나19 방역 과정의 일부 긍정적인 모습만 부각한다는 비판이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4~5월 <중앙일보>·<동아일보> 등과 잇따라 인터뷰하며 대구의 코로나19 방역 성과를 높게 평가했다. 

비슷한 지적은 대구시의회에서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진련 시의원은 지난 4월 29일 대구시의회 본회의에서 “코로나19 방역이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대구시장의 언론 인터뷰가 너무 잦아 시민의 불안감만 부추긴다”고 말했다. 

대구시 누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지난 6월 4일 기준 6885명이다. 전체 확진자 1만1629명의 절반을 훌쩍 넘지만 지난 5월 확진자는 31명이었다. 하루 1명꼴이다.
 

‘메디시티’가 대응 동력? 

대구시의 코로나19 대응을 되돌아보는 작업이 대구 곳곳에서 진행 중이다. 지난 5월에는 대구사회연구소 주최로 ‘코로나19 이후, 지역사회 변화를 전망하다’ 토론회가 세 차례 열렸다. 지난 5월 28일 토론회는 대구참여연대가 주최했다. 토론회 주제는 ‘코로나 사태, 대구사회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였다. 20평 남짓한 공간을 청중과 패널 30여 명이 찾았다. 토론회 참석자들의 발언을 중심으로 대구시의 코로나19 대응 과정을 짚어봤다. 

이날 토론회에 패널로 참석한 김동은 대구 계명대 동산병원 교수(이비인후과)는 “포스트 코로나라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대구도 완전한 ‘인 코로나’ 상황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포스트 코로나를 반복해 언급하면 느슨해져 경각심을 잃을 수 있다는 취지다. 

김 교수는 ‘메디시티 대구’가 코로나19 방역에 큰 보탬이 됐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김 교수는 “대구 시내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슬로건이 ‘메디시티 대구’다. 메디시티는 의료산업과 의료관광 인프라 구축이 핵심 목표다. 공공의료 영역인 감염병 예방과 메디시티의 존재는 연관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대구는 2009년 ‘메디시티 대구’를 선포했다. 대구시는 홈페이지에서 메디시티를 ‘병원서비스산업 육성발전, 의료산업과 융·복합, 첨단의료복합단지 성공정착으로 국가 의료발전과 세계화를 슬로건으로 하는 대구의료의 대명사’로 소개한다. 대구의 올해 의료관광객 유치 목표는 3만 명이었다. 

대구시 측은 메디시티대구협의회(이하 메대협) 산하에 의료질향상위원회와 의료서비스개선위원회가 있고, 대구지역 주요 병원장 등이 참여하고 있어 코로나19 대응에 큰 도움이 됐다고 본다. 권 시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메디시티 대구의 인적·물적 자원도 큰 힘을 발휘했다”고 했다. 

김 교수는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게 지난 1월 20일이었다. 대구에서는 2월 18일에 첫 환자가 나왔다. 메대협과 대구시의 거버넌스가 제대로 작동했다면 대구에 한 명밖에 없던 역학조사관을 미리 충원하고 병상을 확충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했어야 하는 게 정상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민간병원인 대구 동산병원이 대구시의 요청에 따라 최대 병상 465개를 내놓는 등 민간의 협조가 있었기에 그나마 초기에 버텼던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타격은 큰데 지원은 느릿

그는 또 “코로나19 초기에 병상이 부족할 때 경증 환자들이 국가지정음압병실에 들어갔다. 선착순으로 환자를 입원시키다 보니 정작 중증 환자들의 입원은 늦어졌다. 입원을 기다리다 돌아가신 분만 3월 중순 기준으로 23%나 된다는 통계도 있다. 공공의료 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은 단적인 예”라고 덧붙였다. 

대구시는 영남지역 몫의 감염병전문병원 유치를 추진한다. 중앙정부에서 예산 280억원가량을 지원한다. 유치 시 35개 음압병상을 만들 수 있다. 대구 경북대병원·영남대병원 등이 사업에 지원했다. 김 교수는 “감염병전문병원도 공공병원의 성격을 지닐 때 의미가 있지, 병원의 부속 센터처럼 운영되도록 방치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6061522011&code=940100&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al_share#csidx536821083ef4964adea4e7dcbd1774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