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OF PHYSICIANS FOR HUMANISM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라는 이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천’이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천’이다.
초점
[문정주의 의료와 사회-9]
아픔, 돌봄, 죽음에 관한 책이 많이 나오고 있어. 그만큼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성큼 들어선 걸 보여주는 듯해. 예로부터 인간의 생애를 짧은 말로 생로병사(生老病死)라 하는 걸 생각하면, 이 주제들은 애초에 새로운 이야깃거리는 아니야. 어떤 사람에게는 이미 일상을 묵직하게 차지한 말일 수도 있어.사람 몸은 정말 신기해. 의과대학을 다닐 때 해부학으로 몸의 생김새와 짜임새를, 생리학으로 몸 안 장기의 활동을 배웠어. 뇌, 심장, 콩팥, 간, 위장 등이 저마다 독특한 조직을 갖추고 자기 활동을 해. 뇌에서 나온 신경 다발이 길게 온몸으로 퍼져서 정보를 주고받고, 주먹만 한 심장이 힘찬 동작으로 몸 전체에 혈액이 돌게 하고, 그보다 약간 작은 콩팥 두 개는 혈액을 곱게 걸러서 오줌을 만들어. 그 모든 기능이 서로 얽혀 균형을 맞추고 조화를 이뤄.
눈부시게 뛰어난 조직체인 몸은, 그렇기 때문에 위태로워. 뭔 말이냐고? 한 곳에 병이 나면 전체가 위기를 맞는 거야. 어느 구석진 귀퉁이에 생긴 병에도 몸 전체가 아프고 활동에 곤란을 일으켜. 병이 나은 뒤에 남는 흔적은 몸을 달라지게 만들어. 가볍게 달라지면 다행이지만, 훨훨 날며 춤추던 사람이 휠체어를 타게 될 수도 있어. 그런 질병과 사고를 운 좋게 피한다 해도 늙어가는 걸 피할 방도는 없어서 언젠가는 모두 환자가 되고 장애인이 돼. 확실한 미래라고 할까. 그래서 사람에게 의료는 필수 중의 필수야.
출처 : 건치신문(http://www.gunch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