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OF PHYSICIANS FOR HUMANISM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라는 이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천’이다.

초점

초점

공유하기

[언론] [인의협][우석균]'백신‧치료제 개발하는 의사?' 의대 정원 확대 둘러싼 실효성 논란

작성자 : 관리자 2020.07.29

정부 "감염병 대응 기반 다질 것" 의료단체 "실패한 의전원 실험 되풀이"…의협은 8월 총파업 예고 

 

[비즈한국] 의과대학 정원 확대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료계에서는 특히 ‘의과학자’를 늘리겠다는 정부 방침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3일 정부는 “백신 등 분야 의과학자가 부족하다”며 재학생 중 해당 분야 인력 양성을 조건으로 대학에 추가 정원을 배정하겠다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감염병 위기 대응 능력을 향상하겠다는 의도인데, 전문가들은 “터무니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료계에서는 특히 ‘의과학자’를 늘리겠다는 정부 방침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한 백신 연구소를 방문한 모습. 사진=청와대 제공

의과대학 정원 확대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료계에서는 특히 ‘의과학자’를 늘리겠다는 정부 방침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한 백신 연구소를 방문한 모습. 사진=청와대 제공

 

#의과학자 양성 통해 백신·치료제 개발 능력 갖추겠다

 

의과학자 양성 계획은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의 일환이다. 정부는 2022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최대 400명 증원해 10년간 한시적으로 3458명을 유지해 의료인력 총 4000명을 추가로 확충하는 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역 의사 300명, 역학조사관·중증외상 등 특수 전문분야 300명, 제약·바이오 등 의과학 분야 인재 50명을 양성하는 내용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추진하는 이번 방안은 이달 말에서 8월 초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를 거쳐 확정된다.​

 

복지부에 따르면 의과학자는 환자를 진료하는 임상의사가 아닌 백신 개발 등 연구개발에 주력하는 의사를 말한다. 정원을 배정받은 대학에서 의과학자 교육을 받은 학생은 추후 연구소·기업체·​대학 등에서 일하게 된다. 치료제나 백신 개발을 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을 통해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겠다는 게 정부 이야기다. 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 관계자는 “이들이 다 같이 모여 개발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따라서 관련 공공기관이 따로 설립되지는 않는다”고 했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 중 의과학자 정원을 배정받을 대학을 심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의 복지부 관계자는 “대학을 심사할 때 자연계와 공학을 얼마나 잘 연계해서 교육할 수 있는지를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학생이 기업체와 지역의 바이오센터 등과 어떻게 연계될지 등도 심사 요소로 생각 중”이라며 “대학에서 의과학자 과정을 밟는 학생을 향후 교수로 임용하거나 장학금을 두 배로 주는 등 다양한 수단이 필요하다. 정부도 대학에 지원을 늘리되 제대로 운영되지 않으면 회수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약업계에서는 환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제약사 등에 영입될 의과학자가 중개연구 전문가 역할을 하리라 기대하기 때문. 중개연구는 의약품의 효능을 전임상 단계에서 미리 평가해 신약 개발의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임상에서 어떤 자료가 필요하고, 어떻게 그 데이터가 사람들에게 약으로 적용되는지를 해석해줄 사람이 필요하다. 의과학자는 임상 의사나 관계자들과 협의를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아직 의과학자 양성이 덜 돼 있어 국내 제약사들은 대부분 동물실험과 임상 등을 위탁연구기관(CRO)에 맡기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의전원 실험 되풀이? “의과학자 양성보다 기초과학 투자가 먼저”

 

반면 의료계에서는 의과학자 양성 방안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나온다. 의과학자 정원을 배정해도 지원자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환자를 진료하는 임상의사와 의과학자의 임금이 현재 크게는 두 배 이상 차이 나 의대생이 대부분 임상의사의 길을 택하는 실정을 도외시했다는 것. 임상의는 전문의가 많고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라 대우가 좋다. 가령 연세대 의대에는 지금도 의과학자 양성 과정이 있지만 프로그램별 지원자는 매년 4~5명 정도다.​ 

 

기사 더 읽기 - http://www.bizhankook.com/bk/article/20366